'사회' 카테고리의 글 목록 (51 Page)
728x90
반응형

사회869

미래의 희망! 유전자 가위 ㅡ난치병 치료기술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무엇일까요? 2012년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유전자 가위는 과학자들을 깜짝 놀라게 하기에 충분했다고 합니다. 희귀 난치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치료 기술의 핵심은 3세대 유전자가위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크리스퍼-캐스(CRISPER-CAS)9 입니다. 그 이유는 생명체의 기본이 되는 4개의 DNA의 특정 염기를 정교하게 떼어내거나 붙일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덴마크 효소 관련 바이오 기업인 다니스코의 연구자들은 부패한 유산군 사이에서 살아남은 유산균이 내성을 갖고 있음을 밝혀냈다고 합니다. 이 면역 작용에 큰 역할을 한 것이 바로 크리스퍼였다. 즉 외부에서 침입한 DNA의 일부를 기억해두었다가 재침입시 이를 잘라냅니다. 예방 접종과 같은 역할을 한 셈이라고 합니다. 인간을 비롯해 .. 2022. 9. 3.
매일 화학물질과 접촉하는 현대인들 일반인은 하루에 얼마나 많은 화학물질과 접촉할까요? 일반인은 하루에 많은 화학물질과 접촉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주변에 4000가지의 화학물질이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침대, 책상등의 나무에서는 접착제로 사용한 가 뿜어져 나옵니다. 는 암이나 호르몬 분비 장애등을 일으킬 수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노트북과 PC, 프린터 등도 화학물질을 가득 머금고 있습니다. 특히 여기서 발생하는 먼지에는 발달 장애, 불임등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 화학물질 가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는 플라스틱을 제조할 때 불에 타지 않도록 첨가하는 내연성 물질입니다. 전자 기기를 작동하면 코팅되어 있던 독성물질이 공기 중으로 퍼져 먼지와 결합해 쌓이는 것이죠. 2011년부터 법정 싸움이 벌어져 2016년 크게 이슈화된 사태는 화.. 2022. 9. 2.
방사선이 무엇일까요? 방사선이 우리 생활에 어떤 역할을 할까요?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자핵의 성격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원자핵속에 들어 있는 양성자와 중성자입니다.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에 의해 안정적인 원자핵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불안정한 원자핵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불안정한 상태의 원소들은 특정한 입자나 빛을 방출하면서 안정적인 원자핵으로 바뀌려는 성질이 있는데, 이 때 나오는 입자나 빛이 바로 방사선입니다. 예를 들어, 불안정한 상태의 우라늄은 안정한 상태의 원소가 되기 위해 핵분열을 일으키고 열에너지와 중성자를 방출합니다. 이 열에너지와 중성자가 바로 방사선 입니다 방사선은 독이 맞지만 잘 쓰면 약이 되기도 합니다. 1988년부터 캐나다원자력공사 연구원 사이에서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떠돌았다고 합니.. 2022. 9. 1.
명왕성은 왜 쫓겨났을까요? 명왕성이 플루토가 된 이유 학창시절 태양계 행성을 외울 때 사용했던, 수금지화목토천해명! 태양계 행성은 여전히 9개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현재 태양계에는 공식적으로 8개의 행성이 존재합니다. 2006년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했습니다. 2006년 8월 체코 프라하에서 국제천문연맹 총회가 열렸을때 명왕성의 지위를 두고 열띤 토론이 벌어졌어요. 명왕성을 행성으로 놔둔다면 인근에서 발견된 등의 천체 역시 행성으로 지위가 상승됩니다. 이를 두고 423명의 과학자들은 투표를 했습니다. 결과는 안타깝게도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시키는 것이었네요. 이로써 학계에서 명왕성은 공식적으로 '13440플루토' 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017년 2월에는 NASA의 일부 과학자들이 명왕성을 태양계에 포함시키.. 2022. 8. 31.
마이크로바이옴 ㅡ장내 미생물 중요합니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무엇일까요?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 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미생물군집을 말하기도 합니다. 식물마이크로바이옴, 동물마이크로바이옴, 환경마이크로바이옴,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장내마이크로바이옴, 피부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인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중에서도 장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2022. 8. 30.
가장 효과적인 치매 예방법 뇌의 피질이 수축되어집니다. 그로인해 사고(思考),계획,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에 피해가 생깁니다. 그 수축은 해마상(狀) 융기 라는 기억력 형성에 중요한 역활을 부분의 피질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합니다. 뇌실(수액으로 채워지는 공간)이 점점 커진다. 지금까지 과학이 밝혀낸 치매예방에 좋은 법은 단 하나입니다. 열심히 뇌를 쓰는 것이 치매에 걸리기 전 예방법이나 초기 치매 치료법으로 가장 좋다고 합니다. 실제로 2016년 6월 학술지 에 실린 미국 의 연구에 따르면 여러 치료를 혼합한 칵테일 치료를 활용해 치매에 걸린 환자의 기억을 되살리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10명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36가지의 프로그램을 적용합니다. 약물 복용은 물론 수면 습관 개선, 식이요법, 운동 등과 병행하자 치매 증상.. 2022. 8. 29.
줄기세포의 다양한 가능성 ▣ 줄기세포는 무엇일까요? ‘줄기세포’(Stem Cell)는 인체 내 자가 복구 능력을 지닌 세포입니다. 줄기세포 치료제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 및 자가 재생산이 가능한 줄기세포를 활용,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재생해 치료하는 바이오 의약품을 말합니다. 2004년 황석우 박사가 복제에 성공했다고 이야기했던 줄기세포는 만병통치약으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 기적의 치료제로 인식되어진 배아줄기세포가 있습니다. 황석우 박사는 당시에 가짜라는 진위여부에 휩싸여 성공하지 못합니다. ▣ 배아줄기세포는 무엇일까요?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면 수정란이 형성됩니다. 수정란에 있는 세포가 끝없이 세포분열을 하면 수많은 세포로 이루어진 배반포가 됩니다. 배반포 내에는 내세포괴라 불리는 세포 덩어리가 가득 차 있는데 이것이 분화하면서 .. 2022. 8. 28.
나쁜 유전자는 대물림된다 후성유전학은 대물림되는 유전학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후성유전학이 쥐는 물론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 시작했다. 2005년 발표된 교수의 논문에 의하면 임신한 쥐를 화학물질에 노출시켜서 태어난 수컷 새끼는 성(고환)이 비정상이었다. 정자도 허약해 헤엄치는 모습이 영 시원찮았다고 한다. 이렇게 태어난 쥐들끼리 교배를 시켰더니 90%이상의 새끼들... 2세대 쥐들은 화학물질에 노출시키지도 않았는데도 비정상으로 태어난 것이다. 또한 3세대 쥐들까지 비슷한 현상이 관찰됐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 1944년 9월 독일군이 네덜란드 북서부 지역을 지배하면서 식량 봉쇄 조치를 내리는 바람에 이 지역 사람들은 하루에 1000kcal 밖에 섭취하지 못했다. 1945년 2월에는 5.. 2022. 8. 27.
뇌사용! 얼마나 하고 있을까요? 1. 뇌에 대한 사용법 2014년 프랑스 SF영화ㅡ감독 작품 제5원소를 비롯한 감독의 철학이 물씬 스민 작품 인간은 뇌의 몇 %나 활용하는 것일까. '인간이 두뇌를 100% 사용할 줄 알게 된다면 어떨까' 라는 질문으로 시작해 뤽 베송 감독이 10년 동안 쓴 작품이 있다. 바로 영화 다. 루시는 평범한 인간이었지만, 어느 날 갱단의 우두머리인 미스터 장에게 납치되어 몸속에 강력한 합성약물을 넣는 수술을 받고 낯선 곳에 버려진다. 이 합성약물은 임신한지 6주차가 된 임산부에게서 발생하는 물질인 CPH4로, 강력한 생명 탄생의 힘을 지닌 물질이다. 정신을 차리자마자, 약물이 온몸에 퍼지면서 그녀의 두뇌 가동 용량은 급속도로 치솟는다. 두뇌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루시는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중력과 전파를 자유.. 2022. 8. 26.
양자역학의 아버지 닐스 보어 과학역사의 이름을 바꾼 양자역학 양자의 사전적의미는? 양자(量子)는 더이상 나눌 수 없는 에너지의 최소량의 단위로, 물리학에서 상호작용과 관련된 모든 물리적 독립체의 최소단위이다. 양자역학은? 원자, 분자등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의 운동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방정식이다. 중학교 1학년이 되면 배우는 아주 유명한 식이 하나 있다. 물리를 가르치던 많은 교사들이 "이것이 진리다" 라고 했던 식 바로 'F=ma'다 뉴턴 방정식으로 잘 알려진 이 식은 힘과 질량, 가속도의 관계를 나탸낸다. 뉴턴이 사과나무 아래에 앉아 있다가 대단한 생각을 한 셈인데, 이 식에서 파생된 운동 방정식으로 지구뿐 아니라 우주에 있는 모든 행성의 운동까지 설명할 수 있다. 인류는 이 식만으로 세상을 다 이해했다고 여겼.. 2022. 8. 25.
뇌지도 눈의 망막에 맺힌 이미지를 뇌까지 전달하는 신경세포인 ‘신경절세포'의 세부유형을 찾아냈다 인류는 몇 광년 떨어진 은하도 찾아내고 있고 원자보다 작은 미립자도 규명했다. 하지만 양쪽 귀 사이에 있는 1.4kg 짜리 뇌의 미스테리는 아직 풀지 못했다. 아직 뇌에 대해 알고 있는 부분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2013년에 나온 얘기이다. 2017년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컴퓨터와 인간의 뇌를 연결하는 를 개발한다고 알려지면서 화제가 되었던 즉 인간의 기억을 저장 장치로 옮긴 뒤 필요할 때 꺼내쓴다는 발상이다. 뉴럴 레이스가 개발된다면 의료 분야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그런데 1%도 모른다는 뇌를, 어떻게 마음대로 연결하고 저장할 수 있을까. 기초기술은 개발됐다. 다만 이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2022. 8. 24.
아내는 조폭 검도 사범님 결혼할 배우자가 검도 사범인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가 결혼식장까지 펼쳐지는 에피소드 제 이름은 김아무개 라고 압니다. 처가에는 장모님이 계시고 또 4자매가 살고 있죠. 30대에 홀로되셔서 모진 역경과 고난 속에서도 부단히 갈고 닦은것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내공. 그 내공에 힘은 실로 엄청나 웬만한 남자들 몇 명은 말로 넉다운 시켜 버리시죠. 속된 말로 뚜껑 열리면 이러십니다. "으메, 뭔 짓거리여? 오늘 날 잡자 이거제? 시방 음력 며칠이다냐?" 느닷없이 날짜를 묻는데 상대방은 어리둥절하겠죠. "뭐여? 갑자기 음력은 왜 찾고 난리여?" 이때우리 장모님의 명대사가 나옵니다. "갈 때는 말이여 날짜를 알고 가야제. 오늘이 니 제삿날이랑께" 어쨌든 그런 장모님께 처음 인사드리던 날 저는 씩씩하게 이랬습니다.. 2022. 8. 23.
728x90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