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유전자는 대물림된다
사회

나쁜 유전자는 대물림된다

by 림프사랑 2022. 8. 27.
728x90
반응형

후성유전학은  대물림되는 유전학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후성유전학이 쥐는 물론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 시작했다.

2005년 발표된 <마이클 스키너> 교수의 논문에 의하면 임신한 쥐화학물질에 노출시켜서

태어난 수컷 새끼는 성(고환)이 비정상이었다. 정자도 허약해 헤엄치는 모습이 영 시원찮았다고 한다.

 

이렇게 태어난 쥐들끼리 교배를 시켰더니 90%이상의 새끼들...

2세대 쥐들은 화학물질에 노출시키지도 않았는데도 비정상으로 태어난 것이다.

또한 3세대 쥐들까지 비슷한 현상이 관찰됐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

1944년 9월 독일군이 네덜란드 북서부 지역을 지배하면서

식량 봉쇄 조치를 내리는 바람에 이 지역 사람들은 하루에 1000kcal 밖에 섭취하지 못했다.

1945년 2월에는 580kcal까지 떨어졌다.

 

당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출생 전 기근을 겪은 사람들의 후대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비만, 고혈압, 당뇨병등에 걸릴 확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던 질병 중 상당수가 

특정 세대가 노출된 환경에 의해 발현됐다.

 

 

흡연도 DNA의 비정상적인 발현을 일으킬 수 있다.

남성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와 달리 정자에 있는 DNA가 비정상적으로 발현될 확률이 높다.

쥐 실험 결과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DNA는 세대를 거쳐 유전될 수 있으며

비만, 고혈압,당뇨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현재 과학자들은 후성유전학이 일어나는 매커니즘을 크게 두가지로 설명한다.

DNA메틸화히스톤 단백질 변형이다.

DNA메틸화란 메틸이 특정 염기 서열에 붙어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레트 증후군>이라는 희귀 유전 질환이 있다. 인지 및 운동 능력의 상실, 언어기능의 상실,

그리고 손을 씻는 듯한 동작을 반복하는 특징적인 손의 상동증을 보이는 X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이다. 메틸화가 일어날 때,MeCP2(히스톤 단백질의 변형)라는 단백질이 들러붙어

염색체의 그 지역을 영구적으로 폐쇄하는 듯 보인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DNA가 RNA를 거쳐 생명 유지에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DNA가 단백질을 만들어내면서 특정한 형질이 나타나는데, DNA메틸화가 발생하면

이 과정에 문제가 생겨 형질이 나타나지 않거나 과발현되는 것이다.

 

생명활동에 필요한 단백질 생산에 이상이 생기는 만큼 질병에 걸릴 확률이 많다.  

고지방 먹이를 먹은 수컷 쥐가 낳은 새끼 암컷췌장의 DNA메틸화로 이상이 생기는 것

보고된 바 있으며,

저단백 먹이를 먹은 쥐의 새끼간의 콜레스테롤 유전자에 메틸이 달라붙으면서 발현되지 않는 것

으로 확인됐다.

 

히스톤 단백질은 DNA가 묶인 실타래와 같은 역할을 한다.

히스톤 단백질에 메틸과 같은 분자들이 엉켜 붙으면 모양이 변하면서 DNA유전 방식이 달라진다.

2013년 1월, 사라 키민스 캐나다 맥길대학교 교수 연구진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엽산이 적게 함유된 먹이를 먹인 쥐의 정자에서 히스톤 단백질에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정자로부터 태어난 새끼자궁 내막 및 근골격계에 기형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후성유전학은 여러 질병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은 세포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 되는데, DNA염기 서열이 문제가 아니라

메틸화로 인해 특정 유전자가 과발현됐을때 나타날 수 있다.

즉 후성유전학이 원인일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728x90
반응형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효과적인 치매 예방법  (17) 2022.08.29
줄기세포의 다양한 가능성  (12) 2022.08.28
뇌사용! 얼마나 하고 있을까요?  (20) 2022.08.26
양자역학의 아버지 닐스 보어  (17) 2022.08.25
뇌지도  (13) 2022.08.24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