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가 스탠퍼드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입니다.
학생들에게는 '성취도를 측정' 한다는 명목으로 실험에 참가 시킵니다.
실험시간은 2시간정도 소요될것이라 학생들에게 알립니다.
실험실에서는 '자신의 기대치가 일을 하는데 있어 실제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한것' 이라고 알려줍니다.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학생들의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작업을 기다리는 동안
지루한 작업을 시키기 시작합니다.
30분 동안 박스에 있는 물건을 옮기게하고,
다음 30분 동안은 주변의 물건들을 옮기는 작업을 시킵니다.
1시간 동안 작업에 대해 작업이 어땠는지 물어보면,
대부분의 경우 "꽤 재미있었다"고 대답을 하라고 학생들에게 알려줍니다
기다리던 다음 학생들에게 작업을 소개할 때
'작업이 재미있었다' 라고 이야기를 하면 1달러를 주겠다는 제안을 합니다.
그 당시 1달러의 가치는 작은돈이 아니기에 다음 그룹 학생들에게
"다들 재미있었다고 하고, 당신도 그렇게 느꼈기를 바랍니다"는 말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자기가 마친 일에 대한 브리핑를 합니다.
일이 얼마나 재미있었는가? 질문에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의외로 많은 수의 학생들이
자기가 수행한 일이 '처음 생각처럼 그렇게 재미가 없지 않았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심지어는 그런 단순노동에서 그것이 왜 재미가 있었는지에 대한 이유까지 찾아냅니다.
그러면서, 대부분은 "약간 재미있었다" 수준의 답에 체크를 합니다.
실험이 끝난 뒤에 동일한 실험을 한 친구들을 만나게 합니다.
그 친구는 '재미있었다'는 이야기를 하고 20달러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친구는 정말 일이 재미없었고, 최고로 나쁜 점수를 주었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런데, 1달러를 받은 학생들은 누군가가 시켜서 한 거짓말이지만,
이 거짓말을 따랐다는 것 자체가 자신의 신념이나 도덕성을 배신한 행위에다
20달러에 비하면 엄청 가치없는 행동을 한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생각과 신념을 바꿔버린 것입니다.
20달러를 받고도, 재미없었다고 하는 친구의 경우에는
단지 자신은 거짓말을 하는 대가로 20달러를 받았을 뿐이라고
거짓말을 정당화할 근거가 있는 것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우화로 여우가 포도를 따먹기위해 노력해 보지만 여러차례 실패하자
'저 포도는 덜 익은 맛없는 신포도 일거야 안따먹길 잘했어" 라는 말을 합니다.
면접을 망쳐서 회사에 낙방하는 경우에도 '저 회사는 좋지 못한 회사일 거야'
라는 식으로 자신의 노력이 부족해서 목표를 이루지 못했을 경우에도
자기 위안, 자기 합리화를 하게 됩니다.
명품가격이 내리지 않는 이유도 가격이 비싸면 비싼만큼 값을 할 것라는 인식을 시키기 위함이고,
사이비 종교집단이 엄청난 돈을 헌납하게 하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비싼만큼 물건이 값어치 있다는 '인지부조화의 함정'에 걸리는 것입니다.
'인지부조화의 함정'에 걸리는 것은 무의식적으로 벌어지는 '자기함정의 나락'과도 같습니다.
모든일엔 정당한 타당성이 존재합니다. 합리적 근거에 맞게 행동하는지 자신을 돌아보고
행위의 정당성을 먼저 의심하면, 자기 합리화를 시켜버리는 결론은 피할수 있습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의 사랑의 기술 ㅡ존 가트맨 (19) | 2022.11.14 |
---|---|
환생을 연구하는 박사 (18) | 2022.11.13 |
말더듬증 괴물실험 (19) | 2022.11.11 |
세명의 예수그리스도가 만났다 (14) | 2022.11.10 |
우리나라 현상황 (37)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