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퍼거 증후군
일종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제한적 반복적인 관심사와 활동을 보이는 사람들을 통틀어 가리킵니다.
즉 어린아이의 경우 계속적으로 손톱을 물어뜯는 행위, 코딱지를 떼서 입에 가져가는
행위등 반복적인 행동은 그의 불안 심리 상태를 의미합니다.
1944년 지능이 정상 수준이지만,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고 또래 아이들과
공감을 표현하지 않는 아이들에 대한 연구를 한 <한스 아스페르거>의 이름을 따와서
발표 보고된 증상입니다.
◈자페증과 구분
일반인과 언어적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없다는 점에서는 '자폐증'과 구분되며
취미나 성향이 같은 사람과는 잘 어울릴 수 있다는점, 눈맞춤 회피 등이 적고
사회성이 다소 유지될 수 있다는 점등이 차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어린이들은 이론적으로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제한된 상황에서의
사회에 관계된 규칙들을 명확히 알고 있지만, 이런 지식을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에는
잘 적용시키지 못합니다.
◈ 타인에 대한 공감 표현
즉, 타인에 대한 공감의 표현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들수 있는데, 사회에 관련된
기본이 되는 상호작용에 부담과 곤란을 겪고 있고, 자발적으로 친구들 사귀거나
사람들과 어울리는데 겪는 어려움, 감정 교환의 결핍, 눈 맞춤이나 표정, 자세, 손짓을
비롯한 비언어적 소통 능력의 문제등이 포함됩니다.
억지로 눈을 맞춘다거나, 어색한 방법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린시절에 친구를 사귀려고 노력했지만 시도가 지속적으로 실패한 이후에는
친구를 만들고자 하는 관심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반드시 거부하지 않는 아스퍼거인은 사람들과 친해지려 할 수 있는데,
그러나,사회적 상호작용이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해서, 상대는 감정을 무시한다는 느낌을 받기도
하고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본인은 모든 감각의 기능을 한곳에 집중하는 특징으로 인한 태도이며, 그것이 무례함을 나타내는
것과는 다른 표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자면 본인이 관심을 가지는 특이한 주제를 가지고, 듣는
사람의 느낌이나 반응을 신경쓰지 않고 장황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합니다.
◈ 반복적,특정한 주제에 관심
반복적이고 특정한 주제에 강하게 관심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아스퍼거스 어린이는 공룡이나 냄비등에 관심을 가지거나,카메라의 모델 번호를 줄줄이 암기
하면서도 사진술 자체에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관심분야가 일반 학문적 영역인 경우 재능이 높게 평가되는 경우도 있으며, '천재들의 병'이라는
별명이 붙은 것도 이처럼 한가지 주제에 곧 잘 몰두한다는 이유 때문이라고 합니다.
최근 연구인들이 발표한 결과는 아스퍼거 증후군은 치료되어야 할 장애가 아니라 '신경다양성'
의 일종이라고 보는 인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언어 사용에 특이점
언어습득이나, 회화에서 심각한 문제점은 없지만, 보통 그들의 언어 사용에는 특이점이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장황하고 말이 많다거나, 갑작스럽게 주제를 바꾼다거나, 뉘앙스를
이해하지 못하고 문자 그대로 이해한다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의미있는 은유를 사용한다거나,
듣는데에 문제가 있다거나, 특이한 화법, 목소리의 크기나 억양, 운율, 리듬등이 문장 내내 단조롭게
나타나는 것등이 흔하다고 합니다.
◈ 신경다양성의 일종
증후군이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알려진 바가 없다고 합니다.
다른 사람들과 하는 의사소통을 회피하고 자기 가운데에 파묻혀 주위에서 고립되는 형질이
있는 개인들에 해당하지만 이런점은 '반사회성 성격장애' 와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그들은 사회적 폭력과 공격성이 아니라 회피성 인격장애라는 것입니다.
최근 연구인들이 발표한 결과는 아스퍼거 증후군은 치료되어야 할 장애가 아니라 '신경다양성'
의 일종이라고 보는 인식으로, 다양한 민감한 반응에 인식하는 신경적 성향이라는 것입니다.
그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고, 인정해주고, 사랑해 주지 않으면, 그들의 표현은 늘상
어색하거나, 타인에게 관심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사람 대부분은 치료 이후에도 여러 특징을 가진채로 세상에
적응하는 법을 학습해 나가지만, 생활 속에서는 주변인들의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합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술계의 거장 (33) | 2024.01.02 |
---|---|
사랑의 호르몬 (54) | 2023.12.31 |
온라인 데이트 (58) | 2023.12.27 |
불완전한 뇌의 기억 (36) | 2023.12.26 |
21세기 여유로움은 어디에~ (40) | 2023.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