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남운 경제학자
일제때 유물사관에 입각해 [조선경제사]를 저술하고 있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아내의 호칭을 다룬것이 있었다.아내의 호칭으로 '아내', '계집', '마누라'를 두고 그 뿌리에 대해 나름대의 해석을 한 것이다.아내는 집안에 갇혀 사는 안밖의 개념에서 비롯된 남성에 의한 여성압박시대의 산물이라고 풀이하고
계집. 기집. 지집은 아들딸 낳는 씨집 ㅡ곧 콩깍지처럼 씨를 품은 깍지란 뜻에서 비롯되었다고 했으며
마누라는 마주 바라보고 눕는다 하여 마누라 라는 말이 생겼다 했다고 해석한다.이 모두 유물사관에 의한 해석임을 부인할 수가 없다.
우리 한국말의 원류ㅡ
퉁구스계통 말이나 터키계통 말들에서 어머니. 아내. 언니 같은 모계의 호칭은
[아나. 아네. 에네. 에니. 어니. 엉이]를 어간으로 삼고 있다는데 예외가 없다
처를 뜻하는 아내란 말도 안밖의 개념이 아니라, 이에서 비롯됐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곧 아내는 안에만 들어앉아 있는 차별용어가 아니기에 평등사회에서 이 말을 쓴다 하여
아무런 하자가 없다는 말이다.
서양은 횡적 평등사회이기에 호칭 하나로 윗사람, 아랫사람, 대등한 사람에게 고루 통용되는, YOU는 상.중.하에 다 통하지만 우리말에선 당신. 그대. 어르신네. 귀하. 귀댁. 너. 군. 자네. 자기...상대방과의 상대적 위상에 따라서 호칭이 수없이 달라진다.
아내의 호칭ㅡ
당사자끼리는 여보라고 부르면 정감도 나고 좋다.
그러나 대등한 사람에게는 집사람. 안사람 같은 차별호칭보다 아내라는 호칭을 하는 것이 무방하고 ㅡ
손아래 아이들 앞이나 손위의 어른 앞에서 '우리 엄마 이름은 여보래요' 하는 동요도 있듯이
여보라 부르면 쑥스러울까요?
타일러ㅡ테크노니미(technonymy)
여기에 테크노니미(technonymy)를 도입하면 자연스러워진다.
인류학자 [타일러]가 정립한 개념으로 자녀본위 호칭법으로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를 본위로 하여
아내는 (애)엄마, 남편은 (애)아버지, (애)할머니, (애)삼촌...하는 식으로 부르는 호칭관습이다.
테크노니미는 특히 일본과 한국에서 발달하고 있는데, [타일러]는 유럽같은 부부중심사회가 아닌
부자. 모자 중심사회에서 발달하고 있다고 한다.
아이들 앞에서 아내를 (애)엄마라 부르고, 부모 등 손윗사람이나 다른사람앞에서 아내를 (애)엄마라 부르는 테크노니미는 그래서 자연스럽다.
신혼의 아내
아이를 갖지 않은 아내나 신혼의 아내에게 엄마 호칭은 조금은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그래서 신혼때의 별칭으로 (자기야) ㅡ를 사용하다가 애 앞에서도 계속 사용하다보면
시간이 갈수록 애 앞에서의 별칭으론, 덜 성숙된 호칭으로 들리게된다.
나이에 맞는 호칭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뿌리 없는 호칭에 거부반응을 보이는 아내에게, 서로가 원하는 표준호칭을 사용하므로
서로 가까이 다가갈수 있는 가족의 사랑을 표현하는게 현명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728x90
반응형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썩은김치-한성식품 (11) | 2022.03.06 |
---|---|
백신접종후ㅡ 급성 심근염간의 인과성 (11) | 2022.03.05 |
넥슨창업자 사망(김정주) (10) | 2022.03.02 |
소의 졸업식 (8) | 2022.03.02 |
환자처방전 대신 진단서를 끊어야 할까? (9) | 2022.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