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는 [리비도]를 우리의 행동을 지시하는
원동력이자 충동으로 '본능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로
정의합니다.
마음을 움직이는 에너지로 성적인 충동,
그 이상이라고 합니다.
즉 '즐거움을 얻으려는 에너지'라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카를 융]은 '생명 에너지' 라고 해석합니다.
아기들은 어머니에게서 리비도를 찾고,
일곱 살 쯤 되면 친구들에게 리비도가 옮겨갑니다.
일곱 살만 되면 미운 짓을 한다 해서 '미운 일곱 살'이 아닙니다.
즉 일곱 살쯤 되면 새 친구로부터 새로운 즐거움을 느끼게 되고,
대신 리비도를 빼앗긴 데 대한 어머니가 미운 일곱 살을
만든 것입니다.
그러다가 사춘기에 이르면 리비도가 이성으로 옮아가고,
그 리비도가 부부의 연을 맺게 하는 것입니다.
부부가 권태기에 이르면 자녀에게 리비도가 옮아가고
자녀가 장성하면 손자에게 옮아갑니다.
이 리비도의 주기가 걸맞지 않으면 도중에 첩을 얻거나
바람을 피우거나 애완동물에 빠지거나 하는변칙으로
리비도의 공백을 메우려 듭니다.
이것이 보통 사람들의 일생입니다.
한데 어려서 어머니를 잃거나, 젊어서 애인을 잃거나,
결혼해서 반려자를 잃거나 자식을 잃거나 하면
리비도의 단절이 생깁니다.
그러면 우울증이 생기고 죽고 싶은 마음에 식욕을 잃고,
몸이 여위어 가는 리비도 결핍 증후군을 겪게됩니다.
늙어서 할멈이 먼저가면 수년 안에 할아범이 따라 가는
비율이 높다는 것도 그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이 증후군은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북극곰의 금실
북극곰의 아내곰이 죽으면 금실 좋던 남편 곰은
사별한 아내의 리비도를 가눌길 없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절식을 한다고 합니다.
북극여우 금실이 좋아 짝이 죽으면 깡마르고
모피에 윤기가 없어 상품으로써 가치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리비도의 상실이 모피의 질에 까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은행나무에는 암수가 있어 플라토닉 러브로 결실을 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죠.
한데 암나무가 폭풍에 쓰러져 죽거나 베어져 없어지면 맞바라 보고 있던
수나무에 단풍이 빨리 들고, 갈색 반점이 생긴다는 관찰 보고서가 있습니다.
이렇게 짐승과 나무마저도 짝을 상실하면 수척해지고
목숨을 재촉하는데 하물며 영장인 사람은 어떨까요?
외신보도에 보면 리비도의 상대를 상실한 홀어미나
홀아비는 상실한 지 2년까지는 약 40%가 우울증에 걸리고
짝을 잃지 않은 사람에 비해 사망률도 높게 나옵니다.
리비도 상실의 상담 시한이 2년이라는 것이 됩니다.
즉, 몇개월이면 원점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2년이 지나야 정상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그 이후부터는 사망률이나 건강이나 행복에 차이가 없다는,
장기간에 걸친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톨스토이의 진실을 어디로! (31) | 2024.05.02 |
---|---|
고대 그리스 아날로그 컴퓨터 (34) | 2024.05.01 |
마음 편지<레오나르도, 앙드레지드> (25) | 2024.04.29 |
유태인 노벨수상자가 많은 이유? (53) | 2024.04.26 |
2100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40) | 2024.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