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로마에서는
신랑 신부가 오른손을 맞댐으로써
결혼이 성립되었다.
폴란드, 불가리아 같은 동구의 전통결혼식에서는
신랑 신부가 손을 맞대는 것에서 발전하여
끄나풀로 그 두 손을 묶는 의식이 뒤따랐다.
신랑 신부의 팔을
잎이 파란 덩굴로 엮는 민족도 있었다.
북구지방에서는 금화나 은화를 둘로 쪼개어
그 반쪽을 나누어 가짐으로써
베터하프가 되기도 했다.
우리 전통결혼식에서도
그런 의례를 찾아볼 수 있다.
[합근례]라 하여
한 잔 술에 신랑 신부가 번갈아 입을 댐으로써
일심동체를 의식화했던 것이다.
신랑 신부가 두 손을 맞추고
또 두 손을 묶는 의식에서 발전하여
결혼반지가 발생했다고 말한 것은
[인류혼인사]저술을 남긴 [웨스터마크]이다.
고대 로마에서
결혼반지가 발생했을 때는
값비싼 금은보석이 아니라
한낱 쇠반지에 불과했다 한다.
한데 2세기 경부터
보석반지로 사치화하고 있는데,
그렇게 된 데는
신부를 사고파는 매매혼의 습속이
이 반지교환의 습속과 야합했기 때문이다.
희랍에서 혼기의 처녀를
암소를 뜻하는 '알페시보이아'라 한다던데,
구혼자로부터 많은 암소를 받아
아버지께 바치는
사람이란 뜻에서 비롯되었다 한다.
희랍말에서 암소란 말과, 화폐란 말과, 처녀란 말이
같다는 것은 이 매매혼의 단적인 증거랄 수 있다.
독일이나 북구에서는 중세까지도
결혼을 아내를 산다느니,아내로 판다느니ㅡ
사고파는 개념으로 표현했다 한다.
우리나라에도 고구려시대부터
신랑이 돈주머니를 들고
신부집에 들어가
들여줄 것을 애걸하고
3~5년 동안 신부집에서
노역으로 신부값을 치른 다음에야
신부를 데리고 올 수 있었다.
두 손가락을 묶어 일심동체를 다지는
발생당시의 결혼반지는
아름답기 그지없는 정신적인 산물이었다.
한데 그 순수한 정신적 전통에
사람을 사고파는
불손하고 물질적인
인신매매의 악습이 야합되어
결혼반지의 사치화를 재촉해 왔고,
무분별한 외래문화의 수용으로
이 전통도 없는 결혼반지가
우리 한국인의 결혼전통을
오염시켜 온 것이다.
그것이 반지에 그치질 않고,
목걸이며, 귀고리며, 팔찌등 으로 번져나가
우리 서민들의 살림을 쪼들리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와 귀금속업계가 연말에 조사한
결혼패물에 한 해 동안들인 돈이
무려 7460억원이나 되는 해도 있었다.
우리나라 한 해 예산의 20분의 1이
결혼반지로써 왼손가락 하나에
사장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오싹해진다.
최근 2년 이내 결혼한 신혼부부 1000명을 대상으로 결혼비용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이다.
평균 결혼자금으로 총 1억 5332만원을 지출했으며, 그중 주택 마련 비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한다.
주택자금은 2016년 [69.9%] 2017년 [70.8%] 2018년 [72.2%] 2019년 [73.5%] 2020년 [70.4%]로
결혼비용 부담 중 제일 많이 차지하는 편이다. 그나마 조금 꺽인듯하다.
이는 신혼집 형태와 마련 방법 변화에 따른 감소를 의미한다.
가장 많이 선택한 집 형태는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주택순이였다.
과반의 신혼부부는 전세[59.3%]로 마련했다.
반전세[20.2%], 월세[13.2%], 자가구입의 경우는 [5.1%]에불과했다.
주택자금을 제외한 결혼비용은 총 4532만원으로 집계됐다.
예식홀과 웨딩 패키지를 합친 ‘예식비용’은 1246만원이 소요됐다.
예물, 예단, 이바지, 혼수용품, 신혼여행과 같은 ‘예식 외 비용’은 3286만원이었다.
신혼부부는 이 중 예단(31.7%), 혼수(29.4%), 예물(17.4%)을 축소, 생략했으면 하는 결혼준비 품목으로 꼽았다.
그러나 ‘고착화된 결혼 절차’(39.5%), ‘주변의 이목과 체면’(25.2%), ‘양가 부모님의 전통적 사고방식’(24.8%) 때문에
불필요한 결혼준비 품목을 생략하기엔 쉽지 않았다.
한편 다수(72.1%)의 신혼부부는 작은 결혼식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이들은 ‘식장 대여 시간에 쫓기지 않는 여유로운 결혼식이 가능해서’(32.2%), ‘가까운 지인들과 프라이빗한 결혼식을 할 수 있어서’(22.3%),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결혼식이 가능해서’(20.8%)를 그 이유로 들었다.
댓글